PEP8 정리 (알아두면 좋은 8가지 PEP8)
코딩을 하기 전에 설계와 문서가 선행되어야 하고 코딩 중에도 주석이 작성되어야 하지만 정말 바쁜 경우, 이를 생략하고 코딩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코딩 스타일 조차 뒤죽 박죽이면 정말 다시 읽기에 골치 아픈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코드 작성법이 완전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읽는다면 이는 더욱 힘에 부치는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실제 상수, 클래스, … Read more
코딩을 하기 전에 설계와 문서가 선행되어야 하고 코딩 중에도 주석이 작성되어야 하지만 정말 바쁜 경우, 이를 생략하고 코딩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코딩 스타일 조차 뒤죽 박죽이면 정말 다시 읽기에 골치 아픈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코드 작성법이 완전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읽는다면 이는 더욱 힘에 부치는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실제 상수, 클래스, … Read more
autopep8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 옵션에 없는 경우 이미 다른 formatter를 설정해서 “autopep8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웹 개발의 코드를 정리해주는 prettier가 default formatter로 설정되어 있어서 autopep8을 설치했음에도 python formatter에 autopep8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2가지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방법1. settings.json 변경하기 (권장 방법) 공식적인 … Read more
python에서는 pep8 코드 컨벤션에 맞게 코드를 자동으로 서식을 맞춰주는 “autopep8″이라는 자동 formatter가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utopep8 설치, 사용법, 또 필요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autopep8 설치 extension 아이콘 클릭 -> autopep8 검색 -> autopep8 확장팩 설치 autopep8 설정 vscode에서 formatter를 설정하기 위해, ctrl + , 단축키를 눌러 vscode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이후 설정에서 python formatting을 … Read more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마트 각 용어를 종종 들었습니다. 얼핏 들으면 이해가 되는 것 같으면서도 1~2 문장으로 설명된 개념은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자주 듣는 용어인 만큼 이번 포스트에서 명확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웨어 하우스, 데이터 마트를 간단하게 구별 할 수 있는 기준은 데이터의 범위, 사용자의 범위의 차이입니다. 정확히 어떻게 차이가 나는 거고, 각각은 어디에 … Read more
파이썬 코루틴 (coroutine)은 일반적인 함수와 유사하지만, 실행 중에 중지되고 재개될 수 있는 특별한 종류의 서브루틴(subroutine)입니다. 코루틴은 제너레이터와 마찬가지로 실행의 흐름을 일시 중지하고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이는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시작하기 위해 알아야하는 기본 개념. 코루틴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파이썬 코루틴 특징 일시 중지 및 재개 가능 코루틴은 실행 중에 … Read more
처음 혼자 웹 개발을 시작하면 어떤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서 공부해야 할지가 고민이 됩니다.(뭐가 적합한지 알아야지 선택을 하지…) 많은 프레임워크 중 Flask 또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쉬운 언어인 파이썬이 기반이라는 점. 그리고 사용법도 간단하다는 점!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Flask는 무엇이고,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선수 지식 : 파이썬 기초 문법, VScode 사용법 … Read more
콜백은 함수를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특정 작업이 완료되면 실행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를 통해 비동기적인 작업이나 이벤트 처리 등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Read more
“javascript Fetch” 에 관해 공부하였는데 “javascript 비동기”, “Promise”, “콜백 함수”, “멀티 스레드”, “async/await” 개념이 튀어 나옵니다… 이렇게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여러 개념이 줄줄이 알아야 하는 경우 골치가 아픕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한 복잡한 개념은 제외하고 다른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핵심인 “비동기”란 무엇인지 간단한 개념만 정리해보겠습니다. 동기 (Synchronous) VS 비동기 (Asynchronous) 자바스크립트에서 동기(Synchronous)와 … Read more
fetch 함수는 웹 API를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JavaScript의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Promise를 반환하며, 비동기적으로 네트워크 리소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Fetch 함수 다음 코드 예제를 통해 Fetch 함수의 작동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fetch(url): 주어진 url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네트워크 요청을 시작합니다. fetch는 Promise를 반환하며, 비동기적으로 요청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게 됩니다. … Read more
“Git 시작하기” 처음에는 git을 몰랐고, 초반에는 git을 알고도 많이 활용하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git이 없으면 안됩니다…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중 하나로, 소스 코드 및 파일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추적하는 도구입니다. 개발 프로젝트에서 여러 개발자들이 함께 작업하거나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버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인적으로 협업까지 가지 않더라도 프로젝트 수준으로 가면 git은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