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로 문자열 다듬기 : REPLACE, SUBSTRING, CONCAT

SQL로 문자열 다듬기 : 데이터를 조회하다 보면 조회 결과를 바로 사용하기 보다 문자열을 다듬어서 결과로 뽑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경우인데요. 이런 경우 SQL로 어떻게 문자열을 다듬을 수 있는지 정리하였습니다. 문자열 변경하기 : REPLACE 특정 문자열을 찾아서 다른 문자열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REPLACE문을 사용합니다. REPLACE 문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EPLACE’ 문은 ‘SELECT’와 사용해서 … Read more

SQL 그룹화 함수 : GROUP BY

카테고리 별로 연산을 하고 싶을 때는 group by 문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group by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법, 그룹 조건절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GROUP BY 를 사용하는 경우 WHERE 절만을 사용하여 카테고리 별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쿼리문은 총 쿼리문을 길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특정 카테고리의 합계를 구한다고 했을 때, 해당 카테고리의 값이 … Read more

SQL 집계 함수

간단한 ‘SQL 집계 함수’ 를 정리하였습니다. 조건절과 Group by 등과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 입니다. COUNT(), MIN(), MAX(), AVG() 함수와 같은 간단한 집계 함수들을 모든 주요 RDBMS에서 지원합니다. 때문에 MySQL, Oracle, PostreSQL, SQL Server 등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데이터 카운트 * DISTINCT와 COUNT()의 사용 SQL에서 DISTINCT 키워드는 중복된 값을 제거하는 데 … Read more

리눅스 (우분투) 명령어 정리

리눅스 명령어 정리 – 리눅스(우분투)에서 많이 쓰는 명령어들을 정리하였습니다. ‘디렉토리 및 파일 관리’ 부터 ‘사용자 관리’, ‘서비스 관리’등 쓰임새를 기준으로 분류해보았습니다. 분류들은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적었고, 분류 내 명령어들도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적었습니다. 사용 빈도는 무슨 일을 하느냐에 따라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지극히 주관적으로 정했습니다.저는 서버 관리자가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 안 … Read more

DNA 복구 방식 : HDR, MMEJ, NHEJ

DNA 복구 방식 : 유전자의 원하는 위치에 DNA를 삽입, 수정 일은 3가지 복구 기작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Homologous Recombination(HR), Microhomology-mediated end joining(MMEJ) 또는 Non-homology end joining(NHEJ) 입니다. 그 중 유전자 도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R 과정은 동물 배아와 조직에서 드물게 일어납니다. 왜 HR은 발생하기 힘들까요? HR이 발생하기 어려운 이유 HR은 일어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DNA … Read more

유전자 편집 (gene editing) 기술과 전략

유전자 편집 (gene editing) 기술과 전략: 석사과정을 유전자 편집을 통한 동물 모델링까지 했지만 유전자 편집에 관한 블로그 글을 작성하려니 어디서 부터 작성해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CRISPR/Cas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이라는 내용이 꽤나 방대하다는 핑계도 있었지만 ‘석사과정을 마쳤음에도 깔끔하게 내용이 정리가 안된 건가’ 라는 부끄러움이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제 머릿속에 있는 추상적인 개념들과 노트에 적어 놨었던 정갈하지 못한 … Read more

오픈소스, 프리웨어의 특징과 라이선스의 이해

‘오픈소스’ 는 얼핏보면 프리웨어와 동일한 개념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오픈소스면 무료이기에 라이선스와는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틀린 사실 입니다. 라이선스는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고려 해야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오픈소스란 무엇인지 정리하고 이와 유사한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라이선스에는 무엇이 있고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해당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 Read more

SDK (Software Development Kit)와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SDK 는 얼핏 보면 ‘IDE와 뭐가 다른거지?’ 싶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DK란 무엇인지 정리해보고 IDE랑은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도구 상자와 같습니다. 개발자가 특정 플랫폼, 하드웨어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도구, 라이브러리, 문서 및 샘플 코드의 모음입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앱을 구축하는 경우 사용자 … Read more

미들웨어 (Middleware)

‘미들웨어‘ 라는 용어는 아마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공부하면서 처음 들었던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소프트웨어도 아니고 하드웨어도 아닌 것이 뭐야?’ 하면서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정확한 정의를 말하려고 하니 ‘WAS 같은 것?’ 언뜻 말이 나오지 않네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미들웨어란 무엇인가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미들웨어란? “미들웨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구성 요소나 시스템 간의 중개 계층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 Read more

마크다운 / 마크업

‘마크다운’ 은 gitlab과 옵시디언, README 파일을 편집해 보면서 사용해 본 적이 있습니다. 특정 규칙을 사용하면 텍스트를 손쉽게 표현 할 수 있는 게 마크다운이라고 어렴풋이 알고 사용해왔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어렴풋이 알고 쓰던 마크다운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인지 그리고 마크업은 또 무엇인지 정리해봅니다. 마크업 (Markup) 마크업 언어는 구문적으로 텍스트와 구별되는 방식으로 문서에 주석을 추가하는 시스템입니다. 마크업은 문서의 구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