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Array.from(), fill(), filter() : JS의 리스트 컴프리헨션
자바스크립트에서 널리 쓰이는 자료구조 중 하나가 배열 입니다. 자바스크립트 배열에도 파이썬의 리스트 컴프리헨션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메소드들이 있는 것 같아 해당 메소드들 ( Array.from(), fill(), filter() )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널리 쓰이는 자료구조 중 하나가 배열 입니다. 자바스크립트 배열에도 파이썬의 리스트 컴프리헨션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메소드들이 있는 것 같아 해당 메소드들 ( Array.from(), fill(), filter() )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제너레이터”는 반복 가능한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는 강력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제너레이터는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재개할 수 있는 특수 함수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련의 값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연산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다만 파이썬과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삼항 연산자 부분에서 다른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의해서 사용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사용자가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에서 Linux 배포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녀석이라고 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VMWare 없이 이중 부팅 없이 말이죠….! Windows에서 직접 기본 Linux command line 도구 및 유틸리티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홀드아웃”에서의 단점인 오버피팅 및 떨어지는 일반화 성능을 개선한 “K-fold 교차검증”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해외 블로그들을 방문하며 K-fold Cross-validation이란…
일반화 오류가 낮은 모델이란 테스트한 데이터 외에 미래의 또는 새로운 데이터 세트에 대해서도 더 나은 예측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일반화 성능 개선을 위해 등장한 것이 홀드아웃 방법입니다…
Extension에서 검색 해 보니 Continue extension이 GitHub Copilot 보다는 이용자 수가 적지만 점수는 더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더군다나 Continue는 다른 LLM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꽤나 괜찮아 보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Continue를 이용해서 이것 저것 만져본 본 내용들과 Continue를 언제 사용하면 좋고 언제 사용하면 안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LangChain을 찍먹하려다가 ChatGPT를 쓰려면 토큰을 결제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결제를 안 하고도 다른 LLM을 로컬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게 바로 Ollama 입니다.
연산자는 참으로 많습니다. 산술 연산자, 삼항 연산자, 비교 연산자, 단항 연산자, 할당 연산자 등 처음 코딩을 배우면 연산자만 배우는 데도 버겁습니다. 그런데 “비트 연산자” 라는 녀셕이 또 등장하네요.
HTTP/1은 1996년에 도입된 HTTP 프로토콜의 첫 번째 버전입니다. 모든 요청에 별도의 TCP 연결이 필요 했습니다. HTTP/1.1은 네트워크 리소스의 비효율적인 사용 및 대기 시간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